해외통신원 소식

미국 공립학교의 외국어 교육 커리큘럼
구분
교육
출처
스터디코리안
작성일
2023.01.18

최근 들어 세계화라는 말보다 국가별로 장벽을 만들려고 하는 움직임이 당연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그동안 세계 인류는 글로벌 세계에서 경쟁을 통하여 가격은 저렴하지만, 성능은 우수한 공산품을 활용하고 있었다는 현실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국가별 장벽으로 만들어질 보호무역의 결과 공산품의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 많은 사람이 적지 않은 피해를 보게 되는 것도 명확하다. 아이러니하게도 보호무역이 강조되고 있는 것과는 정반대로 미국에서는 외국어 교육이 지속적으로 그리고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이민자들의 국가인 만큼 다양한 민족들이 살고 있으므로 그럴 수밖에 없다는 생각도 들지만, 그 이상의 움직임도 있다.


시카고 북쪽에 위치한 레이크 포레스트시는 인구가 불과 2만 명인 데다 인구의 85% 이상이 백인들로 구성된 작은 도시이다. 그리고 이곳의 초등학교인 체로키 스쿨은 유아반에서부터 4학년까지 수업하는 학생 수 310명의 작은 학교이다. 학생들 역시 86%가 백인이며 아시아인이 6%로 백인 다음으로 많다.


▲ 체로키 초등학교(2023.01.12. 촬영)

▲ 체로키 초등학교(2023.01.12. 촬영)


체로키 초등학교의 홈페이지는 학부모들이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매끄럽게 정리되어 있으며 또한 학생들 역시 쉽게 접근하여 학교에 관한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 체로키 초등학교 홈페이지 (출처: 인터넷 검색 2023.01.12. https://www.lakeforestschools.org/cherokee)

▲ 체로키 초등학교 홈페이지 (출처: 인터넷 검색 2023.01.12. https://www.lakeforestschools.org/cherokee)


체로키 초등학교의 홈페이지에는 일리노이주의 67학군에서 규정한 학년별 커리큘럼에 관한 자료를 볼 수 있다. 아시아인이 적지 않은 만큼 혹시 한국어에 관한 커리큘럼도 있나 하여 살펴보았으나 찾을 수 없었다. 대신 만다린 즉 중국어를 가르치는 것은 커리큘럼에 포함되어 있었다. 한국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 내용과 비교하면 재미있을 것 같아서 내용을 다운로드 받아서 번역하여 정리해 보았다.

경계선이 없는 교육과 한계가 없는 학습(Educating Without Boundaries...Learning Without Limits)이 중국어를 교육하고 학습하는 비전이라고 한다. 중국어 프로그램은 중국 문화 학습을 통하여 학생들의 사회 학습 능력을 향상하는 것과 더불어 언어 면에서 학생들의 능숙도 수준을 향상하도록 설계하였다고 한다. 학년별로 중국어 교육에 관한 커리큘럼이 구체화되어 있다.


▲ 중국어 프로그램의 커리큘럼 하이라이트(출처: 2023.1.12. 인터넷 검색 https://docs.google.com/document/d/1lU77k3as7o88km1A2RdrlFWPIWURh2v6ssN8oD4GW-Q/edit)

▲ 중국어 프로그램의 커리큘럼 하이라이트(출처: 2023.1.12. 인터넷 검색 https://docs.google.com/document/d/1lU77k3as7o88km1A2RdrlFWPIWURh2v6ssN8oD4GW-Q/edit)


유아반 과정에서는 학생들이 자신, 직계 가족, 학용품 및 지역 사회 사람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법을 배운다. 그리고 겨울 날씨와 옷에 대하여 배운다. 미국 상징과 중국 상징을 비교하고 바다 동물을 찾아본다.

1학년 과정에서는 학생들이 학교의 구성원과 장소, 더불어 가족 구성원의 국적 및 레이크 포레스트 커뮤니티에 관해 이야기하는 법을 배운다. 그리고 농장에 대하여 배우고 12간지 동물과 구정 전통에 대한 지식을 배운다.

2학년 과정에서는 학생들이 학습하는 과목과 친척 및 지역 사회 생활에 관해 이야기하는 법을 배운다. 음식과 음료수를 주문하거나 동물을 비교하는 것 그리고 시차와 세계 도시에 대한 것들을 배눈다. 또한 미국과 중국의 전통을 배운다.

3학년 과정에서는 학생들이 자기 집이나 연간 일정 그리고 지역 사회 생활에 관해 이야기하는 법을 배운다. 현대 중국과 고대 중국의 문화를 비교하고, 여러 도시의 날씨에 대해 더 깊이 공부하고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을 탐구해 본다.

4학년 과정에서는 학생들이 하루 일정과 방과 후 활동에 관해 이야기하고 집 주소를 말하고 가족 축하 행사를 계획하는 방법을 배운다. 미국과 중국 커뮤니티를 비교할 것이다. 동물의 외모, 행동 및 서식지에 관해 이야기하고 중국의 여러 지역을 탐험하거나 중국 여행을 준비하는 방법을 배운다. 중국의 전설, 전통 및 유적지에 대한 더 다양한 지식을 배운다.



지역 내 한국학교
하상한국학교 학생들은 크리스마스와 연말을 집에서 보내고 1월 7일부터 수업을 시작하였다. 1교시에는 그동안 만나지 못했던 친구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2교시에는 그동안 배운 내용을 선생님과 복습하는 시간을 가졌다. 3교시에는 학교에서 준비한 아이패드를 가지고 그림과 일치하는 한글을 찾는 테스트를 하였다. 저학년 학생들인 만큼 학생들의 한국어 실력을 테스트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학생들이 한국어 학습에 재미를 붙일 수 있도록 테스트 문제를 만들고자 노력하였다.

디지털 세대의 학생들인 만큼 아이패드로 테스트 문제를 살펴보고 정답을 찾는 것이나 다음 문제로 넘어가는 것, 테스트를 마치고 제출하는 과정들이 그다지 어려움 없이 진행되었다. 하상한국학교에서는 2주에 한 번 정도 테스트를 하여 학생들 스스로 한국어 공부의 실력 향상을 느낄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 하상한국학교 1학년 학생들 테스트 준비(2023.1.7. 촬영

▲ 하상한국학교 1학년 학생들 테스트 준비(2023.1.7. 촬영)





이준수
 미국 이준수
 하상한국학교 교사
 한국 전문대학 교수


0